한국 교육부가 추진 중인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 for Education)’ 사업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모색하는 가운데, 스웨덴 말뫼시 대학(Malmö University)이 중요한 벤치마크 사례로 떠오르고 있다. 말뫼시 대학은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혁신을 통해 기존의 '폐쇄형 대학'에서 '개방형 혁신대학'으로 전환하여, 대학이 지역 발전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는 데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스웨덴의 항구도시 말뫼는 1990년대 산업구조 변화로 경제적 침체를 겪으며 대규모 실업 문제와 인구 유출이라는 위기를 맞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사회와 대학의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1998년 설립된 말뫼시 대학은 ‘지역과 함께하는 대학’을 목표로 특화된 혁신 모델을 도입했다. 이 모델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1. 산학연 협력의 다각화 및 성과
말뫼시 대학은 기업, 지자체, 비영리 단체와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도시 재생과 신산업 육성 분야에서 산학연 협력 모델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지역사회와 대학의 상호 발전을 도모했다. 구체적인 협력 사례로는 ‘Media Evolution City’ 프로젝트가 있다.
이 프로젝트는 말뫼시 대학과 지역 기업, 시청, 그리고 비영리 단체가 공동으로 주도한 미디어 산업 혁신 클러스터로, 지역의 방송, IT, 콘텐츠 제작 기업들이 참여하여 새로운 미디어 기술 개발과 창업을 촉진했다. 대학 연구진과 산업계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신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생들이 현장 프로젝트에 참여해 실무 경험을 쌓았다. 그 결과, 말뫼시 내 관련 기업 수는 5년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졸업생 취업률도 80%를 웃돌았다.
또 다른 사례로는 말뫼시 대학의 헬스케어 연구소와 지역 병원 및 기업이 협력한 ‘Life Science Collaboration’ 모델이 있다. 이 협력체계에서는 지역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헬스케어 솔루션을 개발하고, 대학 연구자와 의사들이 협력하여 스마트 진단 장비와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공동 연구했다.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기술은 이후 스웨덴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지역 내 의료 스타트업의 수가 3년 만에 30% 이상 증가했다.
2.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교육과정
말뫼시 대학은 지역의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제 간 융합 연구와 문제 해결형 교육을 도입했다. 특히,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라는 교육 프로그램은 도시 재생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설계되어, 말뫼시의 환경 개선과 도시 설계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했다. 예를 들어, 말뫼시의 구도심 지역을 친환경 주거지구로 탈바꿈시키는 프로젝트에서는 건축학, 환경공학, 사회학과 학생들이 함께 참여하여, 실질적인 재개발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지역 정부에 제안하기도 했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현장 경험과 문제 해결 역량을 기를 수 있었으며, 지역사회 역시 대학의 연구와 인재를 적극 활용하여 도시 재생이라는 실질적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말뫼시는 ‘지속가능한 도시 모델’로 유럽 연합(EU)으로부터 표창을 받았고, 대학-지역사회 협력의 모범 사례로 자리 잡았다.
3.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의 중심
말뫼시 대학은 단기적인 산업 협력에 그치지 않고, 지역 발전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장기적 비전을 제시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Open Lab Skåne’가 있다. 이 프로젝트는 대학의 연구 인프라를 지역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개방하여, 초기 연구개발(R&D)과 제품 상용화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바이오테크, 환경공학, 식품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실험실과 연구 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대학 연구진들이 기술 자문과 공동 연구를 통해 혁신을 촉진했다.
이를 통해 말뫼시 대학은 기업들이 단순한 경제적 이윤 창출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했다. 결과적으로, 말뫼시와 주변 지역의 창업 생태계가 활성화되었고, 약 50개 이상의 혁신적인 기술 기반 스타트업이 설립되어, 지역 경제의 활력을 불어넣었다.
한국형 RISE 사업에의 시사점
한국의 지방 대학들이 말뫼시 대학의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RISE 사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지역별 특화 산업과 연계된 산학연 협력 모델을 구축하고, 실질적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공동 프로젝트를 장려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와의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장기적 비전과 목표를 수립하여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셋째, 대학의 연구 인프라와 자원을 지역사회에 개방하여, 지역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말뫼시 대학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대학이 지역사회의 성장 엔진으로 자리 잡는다면, RISE 사업은 단순한 대학 지원 정책을 넘어, 한국 지방 혁신의 핵심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한국형 지역혁신 대학 모델이 지역과 대학이 상생하며 함께 성장하는 성공적 협력 사례로 자리 잡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 기사]
HealthEco.Media 정진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