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22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개최된 제44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세종학당 혁신방안 2024-2027'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해외 한국어 보급 확산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담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i-세종학당' 구축이 주목받고 있다.
세종학당의 괄목할만한 성장 세종학당은 2007년 한국어 강좌 개설 이후 17년 동안 놀라운 성장을 이뤄왔다. 학습자 수가 300배 증가했으며, 누적 학습자가 106만 명을 넘어섰다. 이는 전 세계적인 한류 확산과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 강화에 힘입어 한국어 학습 수요가 급증한 결과다. 특히 계절근로자, 결혼이주민, 유학생 등 새로운 학습 수요층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혁신 방안의 핵심 전략 문체부는 이러한 성장세에 발맞춰 3대 전략과 8대 핵심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시공간 제약 없는 온라인 학습 환경 구축
- 거점 세종학당 중심의 현지 지원 관리 체계 강화
- 해외 한국어 확산 기반의 현지화
'i-세종학당': AI 기반의 혁신적 학습 플랫폼 'i-세종학당'은 이번 혁신 방안의 핵심이다. AI와 빅데이터 등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해 개인별 맞춤형 학습을 지원한다. 기존의 'AI 한국어 선생님' 앱을 생성형 AI 기반으로 고도화하고, 원격 세종학당을 구축해 해외 지방 소도시 거주자나 장애인 등 접근성이 떨어지는 학습자들에게도 현장 세종학당과 동등한 수준의 한국어 학습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전략적 확장 계획 세종학당의 전략적 진출을 위해 과학적 통계를 기반으로 한 확장 계획을 수립했다. 현재 256곳인 세종학당을 2027년까지 300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권역별 거점 세종학당을 현 5곳에서 10곳으로 늘려 현지 중심의 지원 관리 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는 국내 재단 본부에서 전 세계 세종학당을 직접 관리하던 기존 체계에서 벗어나, 중간 관리 기관으로서의 거점 세종학당의 역할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교육 품질 향상을 위한 노력 세종한국어평가(SKA) 시행처를 2027년까지 100곳으로 확대하고, 인터넷 기반의 적응형 평가(i-SKA)를 도입해 개인별 맞춤형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국어 교원의 역량 강화도 중요한 과제다. 재교육을 확대하고, 현지인 대상 교원 양성 과정을 확대하여 교원 자격 소지율을 현재 50% 수준에서 2027년까지 70%로 높일 예정이다. 또한, 교원 평가 제도를 개편해 평가 결과에 따라 재교육을 의무화하고 우수 교원에게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실질적인 교육 품질 향상 방안을 마련했다.
세종학당의 확장된 역할 세종학당은 단순한 언어 교육 기관을 넘어 한국 문화의 전파자로서의 역할도 확대될 전망이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세종학당은 한류의 전진기지로, 이번 혁신방안은 지속가능한 해외 한국어 보급 확산을 위한 현지화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세종학당 수강생들이 향후 한국 홍보대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학과 취업 등 경력 개발을 지원하는 방안도 포함되어 있다.
'세종학당 혁신방안 2024-2027'은 급변하는 글로벌 교육 환경에 대응하고,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AI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학습 플랫폼 구축과 체계적인 현지화 전략을 통해, 세종학당은 앞으로 더 많은 세계인들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전파하는 핵심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HealthEco.Media 정진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