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가 4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부산 포럼'은 자원순환경제를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 설계와 중앙-지방 간 실질적 탄소중립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장이 되었다.
이번 포럼은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릴 유엔 플라스틱협약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를 앞두고 전략적으로 준비되었다. 유엔 플라스틱협약은 2022년 3월 유엔환경총회(UNEA)에서 합의된 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으로, 글로벌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한국이 국제 환경 정책에서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로 부각되고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의 알렉산더 마이어 줌펠데 파트너는 기조강연에서 순환경제의 잠재력을 구체적 수치로 제시했다. 그에 따르면, 순환경제 도입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35% 이상 감축할 수 있으며, 한국의 순환경제 시장은 2030년까지 100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는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정부의 순환경제 전략은 크게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된다. 첫째, 재활용 산업 육성을 통한 자원 효율성 증대, 둘째, 기술혁신 촉진을 통한 순환경제 기반 기술 개발, 셋째, 순환경제 시장 확대를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다. 이를 통해 정부는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포럼에서는 민관산학 협력 방안에 대한 구체적 논의도 이루어졌다. 특히,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대기업의 자원과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와 지자체의 중재 역할 강화가 강조되었다. 또한, 순환경제 참여 기업에 대한 세금 혜택이나 규제 완화 등 실질적인 인센티브 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김상협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자원순환경제의 의미를 재조명했다. 그는 "자원순환경제는 단순한 경제적 효용성을 넘어 미래세대를 보호하는 핵심 전략"이라고 강조하며, 이번 포럼을 통해 지역사회, 정부, 산업계가 협력하여 혁신적인 자원순환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실질적으로 구현해 나갈 것을 촉구했다.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도 주목할 만하다. 많은 기업들이 이미 폐플라스틱, 폐배터리 재활용 등 순환경제 관련 신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글로벌 순환경제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포럼은 단순히 국내 순환경제 활성화를 넘어, 11월 부산에서 열릴 유엔 플라스틱협약 정부간협상위원회에서 한국이 글로벌 환경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향후 한국이 순환경제 모델을 글로벌 무대에서 선도적으로 제시하고,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서는 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HealthEco.Media 권경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