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5.0℃
  • 맑음강릉 5.3℃
  • 맑음서울 7.6℃
  • 구름많음대전 8.9℃
  • 맑음대구 7.1℃
  • 맑음울산 5.4℃
  • 흐림광주 8.4℃
  • 구름많음부산 7.7℃
  • 맑음고창 4.3℃
  • 구름많음제주 7.2℃
  • 맑음강화 3.7℃
  • 구름조금보은 4.7℃
  • 맑음금산 8.0℃
  • 맑음강진군 4.9℃
  • 맑음경주시 3.7℃
  • 맑음거제 6.9℃
기상청 제공

검색의 미래, 퍼플렉시티 AI… 구글·네이버 넘는 차세대 검색엔진 주목

챗GPT와 검색엔진의 장점을 결합한 AI 검색툴… 직관적 답변, 신뢰도 높은 정보 제공으로 국내 사용자 확산 기대

 

최근 검색 엔진 시장에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는 인공지능 기반 검색 도구가 등장했다. 바로 ‘퍼플렉시티 AI(Perplexity AI)’다. 엔비디아 창립자인 젠슨 황 CEO도 즐겨 사용한다고 알려진 이 도구는 기존 검색 서비스와는 전혀 다른 검색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퍼플렉시티 AI는 질문을 입력하면 단순히 관련 링크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질문 의도에 맞는 핵심적인 정보를 요약하고 정리해 준다. 즉, ‘다양한 검색결과 속에서 사용자가 스스로 의미 있는 정보를 선별해야 했던’ 기존 검색 방식의 불편함을 해결했다. 사용자는 시간을 절약하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퍼플렉시티 AI는 △직관적인 답변 요약 △출처 기반 정보 제공 △관련 질문 추천 기능을 통해 대화형 검색의 편의성을 높였다. 유튜브, 블로그, 뉴스 등 웹 상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챗GPT형 답변을 제공하는 것도 특징이다. 최신성에서 한계가 있었던 GPT-3.5 기반 챗봇과 차별화된 부분이다.

 

정보가 많다고 다 좋은 건 아니다
 

퍼플렉시티 AI의 탄생 배경에는 사용자들의 변화된 검색 습관이 있다. 대규모 검색 엔진들이 방대한 정보를 제공하긴 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광고성 정보와 신뢰하기 어려운 콘텐츠가 섞여 사용자가 정확한 답을 얻기 어려웠다는 점이다. 퍼플렉시티 AI는 ‘양보다는 질’에 주목했다. 질문에 맞는 핵심 답변만을 추출해 제공하고, 답변 근거가 되는 출처 링크를 투명하게 명시한다. 실제 사용법도 간단하다. 기본 인터페이스는 챗GPT와 유사하며, 질문 입력 후 즉각 답변이 제공된다. 뿐만 아니라, AI가 다음에 이어서 묻기 좋은 질문들을 추천하고, 이를 클릭하면 자연스럽게 대화가 이어진다. 

 

전문검색부터 AI추천까지, 다양한 기능 탑재


퍼플렉시티 AI는 단순 정보검색을 넘어 △전문가용 커스텀 리포트 생성 △맞춤형 질문 정리 기능(콜렉션) △다양한 모드(웹, 비디오, 수학, 추론모드) △페이지 생성 및 공유 기능 등도 지원한다.  또한, 최근에는 GPT-4o와 유사한 ‘추론 모드’를 도입해 AI 기반 요약과 정리 능력이 한층 강화됐다. 검색결과를 블로그, 보고서, 프레젠테이션처럼 정돈된 문서형식으로 만들어주는 ‘페이지’ 기능은 특히 비즈니스 및 교육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사용자 위한 무료 프로모션도 진행

 

SKT와 협력하여 한국 사용자를 대상으로 퍼플렉시티 AI 프로 버전을 1년간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모션도 진행 중이다. SKT 사용자는 ‘A닷 퍼플렉시티’ 사이트에서 신청하면 된다. 국내에서도 퍼플렉시티 AI를 활용해 유튜브, 블로그, 논문, 비즈니스 자료 조사 등에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정보의 신뢰성과 정리된 요약을 중요시하는 직장인, 연구자, 콘텐츠 제작자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고 있다.

 

‘검색엔진 vs. AI검색’ 새 지형도 주목

 

전문가들은 퍼플렉시티 AI를 시작으로 검색 서비스의 패러다임이 ‘링크 제공형’에서 ‘대화형·요약형’으로 본격 전환될 것으로 전망한다. 퍼플렉시티 AI는 구글, 네이버처럼 빠른 링크 검색이 필요한 경우에는 부족할 수 있으나, 질문의 목적에 맞는 요약된 답변, 최신 정보, 정돈된 콘텐츠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매력적인 도구가 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구글, 네이버, ChatGPT, Perplexity AI의 특징을 알고 적절히 병행하면 정보 탐색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HealthEco.Media 정진성 기자 |